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뜰폰 통신사 순위 시장 분석 +요금제 비교까지

by 기묘한 통계 2025. 5. 8.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묘한통계입니다. 최근 SKT 이슈가 있어 통신사들의 반사 이익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 중 3대 통신사가 아닌

알뜰폰 시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알뜰폰 어떤 통신사들이 있고, 시장 현황은 어떤지, 요금제 비교까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알뜰폰(MVNO)이란?

**알뜰폰(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은 SKT, KT, LG U+ 등 기존 3대 이통사의 통신망을 빌려서
저렴한 가격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입니다. 즉, 자체 기지국 없이 도매 요금으로 망을 임대하고
요금제만 만들어 소비자에게 싸게 파는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알뜰폰이 생겨난 배경>

도입 시기 2011년 정부 주도 도입
목적 통신비 절감 + 시장 경쟁 촉진
초기 인식 “서브폰”, “중장년층 전용”
현재 트렌드 2030세대·Z세대 주도 시장 확대

2. 2024년 알뜰폰 시장 규모 요약

전체 가입자 수 1,428만 명 (2024년 12월 기준, 과기정통부)
전체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약 20% 돌파
연간 매출 총액 약 1.3조 원 이상 추정
사용 연령층 2030세대 비율 40% 이상

3. 2024년 알뜰폰 통신사 TOP 10 (가입자 수 기준)

순위 사업자 망 사업자 가입자 수 (만 명) 점유율(추정)
1위 LG헬로비전 LG U+ 180만 명 약 12.6%
2위 KT M모바일 KT 165만 명 약 11.5%
3위 SK텔링크 (SK 7모바일) SKT 154만 명 약 10.8%
4위 이마트 알뜰폰 (헬로모바일) LG U+ 110만 명 약 7.7%
5위 U+ 유모바일 LG U+ 97만 명 약 6.8%
6위 리브엠 (KB국민은행) LG U+ 85만 명 약 5.9%
7위 A모바일 (에넥스텔레콤) KT 74만 명 약 5.2%
8위 프리텔레콤 (프리티) LG U+ 67만 명 약 4.7%
9위 아이즈모바일 KT 63만 명 약 4.4%
10위 헬로모바일 LG U+ 52만 명 약 3.6%

*상위 3개 사업자 합산 점유율: 약 35% 이상


 

4. 2024년 알뜰폰 매출액 기준 추정 순위 TOP 5

순위 사업자명 연 매출 추정액 매출 구성 특징
1위 LG헬로비전 약 2,700억 원 MVNO + 케이블TV 시너지
2위 KT M모바일 약 2,200억 원 KT 그룹 계열, 유통망 강점
3위 SK 7모바일 약 1,950억 원 SKT 도매망 기반 안정 수익
4위 리브엠 (KB) 약 1,400억 원 금융연계 서비스 결합
5위 U+ 유모바일 약 1,200억 원 자체 앱 기반 유통 강화

*매출 기준은 전체 가입자 수 + 월평균 요금제 단가(ARPU) 추정 기준

*실속 요금제 중심 기업은 가입자 수 많아도 매출은 낮을 수 있음

 

LG 헬로비전 5월 가정의 달 이벤트 혜택 받기

KT M모바일 네이버페이 20만 원 이벤트 혜택 받기


 

5. 시장 트렌드 요약

🎯 Z세대 유입 ↑ MZ세대, 대학생 대상 저가 요금제 인기
📦 유통 확장 편의점·이마트·쿠팡에서 유심 구매 가능
💳 금융사 진출 KB 리브엠, 하나모바일 등 금융계 알뜰폰 가세
🤝 결합 전략 OTT+요금제, OTT+금융서비스 연계 요금제 확대
📱 데이터 중심 요금제 10GB+ 속도제한 무제한 요금제 대중화

 

<알뜰폰 선택의 장점>

 

💸 통신비 절감 월 평균 50~70% 저렴
🔄 번호 이동 자유 통신사 이동도 쉬움 (MNP 완전 개방)
📦 유심 자급제 폰 구매 없이 유심만으로 개통
🎁 다양한 프로모션 매월 유심비 무료, 가입 캐시백, 데이터 추가 등

 

<주의할 점>

 

❌ 고객센터 대응 느림 24시간 대응 미지원 사업자 많음
❌ 로밍·부가서비스 제한 일부 부가서비스는 사용 불가
❌ 실시간 통화품질 차이 MVNO는 우선순위 낮은 경우 있음 (특히 LTE에서)
❌ eSIM 미지원 많음 최신 기술은 일부 업체만 대응

6. 2025년 알뜰폰 요금제 비교표

<비교 기준>

적용 시점 2025년 1분기 기준
SKT / KT / LG U+ 도매망 사용
비교 항목 월 요금, 데이터 제공량, 음성/문자, 주요 혜택
출처 알뜰폰허브, 유심닷컴, 통신사 공식몰 (실시간 확인 기준)

 

*2025년 인기 알뜰폰 요금제 비교표 (대표 요금제 기준)

 

요금제명 통신사 월 요금 데이터 음성/문자 특징
10GB+무제한 리브엠 (LG U+) 11,000원 10GB + 3Mbps 무제한 무제한/무제한 실속형 대표 요금제, 인기 1위
20GB 실속형 KT M모바일 (KT) 13,900원 20GB + 3Mbps 무제한 무제한/무제한 업무용 세컨폰 용도 인기
무제한 프리미엄 SK 7모바일 (SKT) 33,000원 100GB + 5Mbps 무제한 무제한/무제한 유튜브·넷플릭스용 인기
청소년 요금제 헬로모바일 (LG U+) 6,600원 1.5GB + 400Kbps 100분/100건 중고생 대상 저가 요금제
효도폰 요금제 아이즈모바일 (KT) 8,800원 3GB + 1Mbps 300분/100건 60세 이상 전용 요금제
여행·단기폰 A모바일 (KT) 3,300원 500MB 50분/20건 단기 사용용도, 유심비 무료
데이터 전용 (LTE 라우터) 프리텔레콤 (LG U+) 16,500원 50GB 없음 태블릿/라우터 전용 요금제
금융결합형 리브엠 (KB 국민은행) 9,900원 10GB + 3Mbps 무제한/무제한 국민은행 고객 캐시백 제공

 

<요금제 선택 팁>

 

영상/게임 중심 사용자 100GB+무제한 (SK 7모바일, 리브엠)
직장인/업무용 세컨폰 10~20GB 실속형 (KT M모바일, 헬로모바일)
어르신/효도폰 3~5GB + 통화 제공형 (아이즈모바일, A모바일)
학생/자녀폰 중저가 데이터 1.5GB~3GB 요금제
태블릿/라우터 용도 데이터 전용 요금제 (프리텔레콤, 리브엠)

 

<알뜰폰 vs 이통 3사 요금 비교 (예시)>

 

구분 알뜰폰 10GB+무제한 SKT/KT/LG 요금제
월 요금 11,000원 약 55,000원 이상
음성/문자 무제한 무제한 (동일)
데이터 10GB + 3Mbps 10~15GB + 제한

✅ 알뜰폰은 이통사 대비 약 70~80% 저렴

✅ 동일한 품질(망은 동일), 서비스만 축소

 

 

오늘은 알뜰폰 시장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이동통신 3사 대비해서 요금은 확실히 저렴하지만, AS에 대해서는 상당히 큰 불편을 겪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네요. 본인의 상황에 따라 비용 절감을 우선시할지, 서비스 만족도를 우선시 할지에 대해서

충분히 고민하고 선택하면 좋을 거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