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국내 저가항공사(LCC) 종류와 이용자 수 기준 시장 점유율 분석

by 기묘한 통계 2025. 7. 15.

    [ 목차 ]
반응형

 

 

1. 저가항공의 성장

과거에는 저가항공(LCC, Low Cost Carrier)이 단순히 ‘저렴한 항공권’을 찾는 소비자의 선택지 중 하나였다면,
2025년 현재는 국내 항공시장의 주축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이후 폭발적인 여행 수요 회복
✅ 국내선 중심의 항공 네트워크 재정비
✅ 해외 저가 항공 시장과의 연계
✅ 온라인 여행 플랫폼(OTA)의 활성화

 

이런 변화들이 결합되면서, 대한민국 항공 산업 내에서 저가항공의 위상은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2. 저가항공(LCC)이란 무엇인가?

✔️ 정의

  • 기존 대형 항공사(FSC)와 달리, 기내 서비스나 부가 혜택을 줄이고 운임을 낮춘 항공사
  • 기본 요금 외에 좌석 지정, 수하물, 기내식, 기내 엔터테인먼트 등을 별도 요금으로 운영

✔️ 특징

  • 단거리 운항 중심 (국내선, 동남아·중국·일본 등)
  • 동일 기종(주로 B737, A320 등)으로 효율적 운영
  • 온라인 판매 중심, 오프라인 인력 최소화
  • 수익성 개선 위해 빈 좌석률을 낮추는 전략 집중

 

3. 대한민국 저가항공사 목록 (2025년 기준)

2025년 현재,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운항 중인 저가항공사는 총 7곳입니다.

항공사명 본사 위치 모기업/계열사 주요 노선 ICAO 코드
제주항공 서울/제주 애경그룹 국내선·일본·동남아 JJA
진에어 서울 한진그룹(대한항공 계열) 국내선·중국·동남아 JNA
티웨이항공 서울 독립 법인 국내선·일본·동남아 TWB
에어부산 부산 아시아나 계열 국내선·일본·중국 ABL
에어서울 서울 아시아나 계열 일본·동남아 중심 ASV
플라이강원 원주 지방 공공법인 국내선·일부 해외 FGW
에어로케이 청주 독립 법인 국내선·일부 동남아 EOK

 

공항별 통계 < 항공통계 < 정보공개 | KAC한국공항공사(국문)

 

메인

KAC 소개, 운항 스케줄, 공항 정보 및 지역행사, 날씨, 항공지식, 채용정보 등 안내.

www.airport.co.kr

 

4. 저가항공사 시장 점유율 (2024년 총 이용자 수 기준)

한국공항공사 및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LCC(저가항공사)의 전체 국내선+국제선 탑승객 수는 약 6,400만 명으로,

전체 항공 여객의 약 62.3%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2024년 기준 LCC별 탑승객 수와 시장 점유율입니다.

순위 항공사 2024년 이용자 수 시장 점유율 비고
1 제주항공 19,720,000명 30.8% 국내 LCC 중 최대 규모
2 진에어 13,850,000명 21.6% 대한항공 계열, 대형기 일부 운항
3 티웨이항공 12,340,000명 19.2% 동남아·중국 노선 강세
4 에어부산 7,100,000명 11.1% 부산·대구 거점 항공사
5 에어서울 4,350,000명 6.8% 일본 노선 중심 전략
6 에어로케이 1,200,000명 1.9% 청주 중심의 신생 항공사
7 플라이강원 550,000명 0.8% 지방 노선 중심, 재정지원 필요

 

 

 

✈️ 여름 휴가 최저가 알아보기

 

5. 시장 변화 트렌드

  • 제주항공·진에어 양강 체제 → 점유율 50% 이상
  • 티웨이항공의 중장거리 진출 (2025년 하반기부터 유럽 직항 도입 추진)
  • 신생 항공사(에어로케이·플라이강원)의 지방 거점 성장 전략
  • FSC와 LCC 간 경계 완화: 기내 서비스 유료화, 수하물 요금 변경 등

 

6. 저가항공 이용자의 주요 특징

항목 통계 기반 분석
연령대 20~40대 이용 비중 70% 이상
이용 목적 해외여행 1위 (60%), 출장·단기 방문 (30%)
구매 채널 모바일 OTA 앱, 항공사 공식 사이트 중심
민감 요소 가격 > 수하물 > 시간대 > 마일리지

 

 

7. 저가항공의 장단점 비교

항목 장점 단점
가격 평균 30~50% 저렴 수하물·좌석 지정 시 추가 비용
노선 동남아·일본·중국 다양화 중장거리 노선은 제한적
운영 운항 회수 많고 빠름 기상 악화 시 지연 가능성 ↑
서비스 간편·효율적 기내식, 엔터테인먼트 없음

 

 

8. 향후 전망 및 정책 방향

  • 국토교통부는 LCC의 항공 안전관리 강화지방공항 노선 확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 중입니다.
  • 중장거리 노선 확대 (하와이, 유럽, 괌 등)도 진행 중
  • 탄소배출 관리 규제로 인해 LCC에도 친환경 항공기 도입 압박 증가 중

 

 

저가항공은 더 이상 ‘싼 비행기’가 아닌, ‘전략적 이동수단’입니다.


자신의 여행 목적과 예산, 수하물 조건, 시간대를 잘 따져본다면,
저가항공은 대형 항공사보다 더 실속 있는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