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2025년 상반기 대한민국은 이상기후와 짧은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나타나면서
‘어디에 비가 많이 왔는가?’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습니다.
특히, 5~6월에 걸쳐, 남부지방 일부와 제주도를 중심으로 강우량이 예년 대비 150~200%까지 증가했고,
수도권과 강원 내륙은 오히려 예년보다 적은 비를 기록하면서 지역 간 강수 편차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1. 대한민국 상반기 강우량 개요 (2025년)
항목 | 수치/내용 |
집계 기간 |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
분석 기준 | 기상청 AWS(자동기상관측장비) 및 KMA 관측소 자료 |
전국 평균 강우량 | 약 645.2mm |
최다 강우 지역 | 제주도 서귀포시 – 1,279.3mm |
최소 강우 지역 | 강원도 태백시 – 287.1mm |
예년 대비 전국 평균 증감률 | 약 +8.5% (전국 평균 기준) |
강우 패턴 | 3~4월 평년 이하 → 5월~6월 집중 호우 증가 |
한국 기후자료제공 안내 - 기상청 날씨누리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www.weather.go.kr
2. 국내 지역별 강우량 순위 TOP20 (2025년 상반기 기준)
순위 | 지역 | 강우량 (mm) | 예년 대비 증감률 | 특이사항 |
---|---|---|---|---|
1 | 제주도 서귀포시 | 1,279.3 | +32% | 6월 집중호우로 급증 |
2 | 제주시 | 1,213.1 | +30% | 전통적 다우 지역 |
3 | 전남 완도군 | 1,083.5 | +27% | 해양성 저기압 영향 |
4 | 전북 고창군 | 1,045.6 | +21% | 봄철 강우 집중 |
5 | 경남 거제시 | 1,012.7 | +24% | 해풍과 태풍 잔재 영향 |
6 | 전남 여수시 | 988.2 | +20% | 지속적 다우 기후 |
7 | 경북 울릉군 | 975.6 | +18% | 해양 기류 잦음 |
8 | 광주 동구 | 947.3 | +15% | 5월 집중호우 영향 |
9 | 부산 기장군 | 913.8 | +19% | 동해안 저기압 통로 |
10 | 충남 보령시 | 901.2 | +17% | 해안가 기압차 영향 |
11 | 전남 목포시 | 895.7 | +14% | 비가 자주, 짧게 내림 |
12 | 경남 창원시 | 882.1 | +13% | 내륙성 소나기 |
13 | 충북 충주시 | 861.9 | +12% | 6월 집중성 강우 |
14 | 서울 은평구 | 847.3 | +6% | 국지성 호우 빈번 |
15 | 세종특별자치시 | 838.0 | +9% | 중앙권 기류 영향 |
16 | 강원 강릉시 | 819.5 | +5% | 초여름 폭우 집중 |
17 | 대전 중구 | 814.0 | +6% | 6월 국지성 폭우 영향 |
18 | 경북 경주시 | 807.2 | +10% | 봄철 적설 후 강우 증가 |
19 | 전남 순천시 | 794.3 | +11% | 산간 지형 다우 |
20 | 포항시 북구 | 782.4 | +4% | 해풍과 동해안 저기압 영향 |
3. 이상 강우 지역 집중 분석
제주 서귀포 – 1,279.3mm
- 6월 말 국지성 폭우 영향, 일일 최대 134.5mm 기록
- 열대 저기압 경로 영향 → 여름철 집중호우 조짐
전남 완도 – 해양성 저기압 장기 체류
- 남해안 고기압-저기압 순환 영향
- 해수면 온도 상승 → 수증기 유입량 ↑
강원 내륙 – 비소식 적음, 가뭄 현상 지속
- 춘천·태백·홍천 등 400mm 미만 지역 다수
- 농업용수 부족 → 피해 접수 사례 증가
4. 생활에 미치는 영향
농업 | 비 예보 부정확 → 병해충 증가 / 비닐하우스 피해 |
교통 | 집중호우 시 도심 침수 빈번 / 하천범람 발생 |
주거안전 | 누수, 싱크홀, 지반침하 사고 증가 |
건강관리 | 곰팡이, 감염병 유행 ↑ / 체감온도 및 불쾌지수 급등 |
5. 2025년 7월 이후 강우 전망 (기상청 단기예보 기반)
- 7~8월 중부지방 중심으로 게릴라성 폭우 빈도 증가 예상
- 남부지방은 지속적인 고온·다습 현상 발생
- 9월 이후 조기 태풍 진입 가능성도 예보됨
6. 지역별 강우 특성 비교
구분 | 남부지방 | 중부지방 | 제주도 | 강원 내륙 |
주요 패턴 | 저기압 장기체류 | 한랭전선 짧고 강함 | 해양성 기후 집중호우 | 비 간헐적, 강우량 적음 |
피해 위험 | 침수, 농업피해 | 단기 대량 강우 | 토사 유출 위험 | 가뭄, 산불 ↑ |
대응 전략 | 물 저장소 사전 확보 | 실시간 레이더 예측 | 하천·급경사지 점검 | 관정 관리 필수 |
7. 2025년 상반기 국내 강우량 지역 순위 (21위~40위)
순위 | 지역 | 강우량 (mm) | 예년 대비 증감률 | 비고 |
---|---|---|---|---|
21 | 경남 통영시 | 779.5 | +6% | 해풍 영향 지속 |
22 | 부산 사하구 | 776.1 | +5% | 남부 저기압 경로 |
23 | 광주 북구 | 773.2 | +8% | 5월 국지성 호우 |
24 | 전북 정읍시 | 768.4 | +4% | 봄철 안정적 강수 |
25 | 전남 순천시 | 765.1 | +7% | 산지 영향권 |
26 | 충남 서산시 | 762.7 | +3% | 서해안 흐림 빈도↑ |
27 | 경북 포항시 남구 | 758.9 | +6% | 5~6월에 집중 |
28 | 강원 속초시 | 754.0 | +5% | 해안 다우지역 |
29 | 충북 청주시 | 752.3 | +4% | 중부권 안정강수 |
30 | 대구 달서구 | 747.9 | +2% | 예년 수준 유지 |
31 | 서울 서대문구 | 742.1 | +1% | 4~5월 다소 적음 |
32 | 경기 안산시 | 738.4 | 0% | 평년 수준 |
33 | 전북 익산시 | 735.0 | +3% | 상반기 고르게 분포 |
34 | 인천 연수구 | 731.3 | +1% | 간헐적 집중강우 |
35 | 울산 북구 | 728.7 | +4% | 6월 하순 호우 영향 |
36 | 강원 원주시 | 725.5 | +2% | 초여름 비 집중 |
37 | 경기 고양시 | 721.9 | -1% | 4월 강우 적음 |
38 | 경남 김해시 | 718.2 | +2% | 해안 인접지 |
39 | 경북 안동시 | 714.5 | +3% | 5월 강우 집중 |
40 | 강원 평창군 | 711.4 | +1% | 고지대 잔잔한 비 지속 |
8. 생활권(광역시·도 및 시·군·구) 강수 패턴 비교 분석
기상청 기후예측정보서비스
Copyright (c) 2024 by Co., Lfd. All right reserved. 기상청 기후과학국 기후예측과: (042)481-7402, kmapre@korea.kr
www.kma.go.kr
▣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주요 지역 | 강우량(mm) | 예년 대비 | 특징 |
서울 강남구 | 613.1 | -5% | 3월~4월 비 현저히 적음 |
경기 수원시 | 622.0 | -2% | 전반적으로 평년과 유사 |
인천 남동구 | 589.4 | -6% | 바람 많고 비는 짧고 굵게 옴 |
✅ 공통점: 국지성 강우 많고, 초여름 가뭄 경향
▣ 충청권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주요 지역 | 강우량(mm) | 예년 대비 | 특징 |
대전 유성구 | 682.4 | +4% | 6월 초 대형 호우 발생 |
충북 청주시 | 670.5 | +6% | 5월~6월 집중호우 집중 |
세종특별자치시 | 651.2 | +2% | 평탄한 비 패턴 |
✅ 공통점: 6월 국지성 폭우 집중, 산지 영향 적음
▣ 경상권 (부산, 대구, 울산, 경북·경남)
주요 지역 | 강우량(mm) | 예년 대비 | 특징 |
대구 동구 | 659.0 | +1% | 전반적으로 평년 수준 유지 |
울산 남구 | 691.2 | +3% | 바닷바람 영향 증가 |
경남 창원시 | 711.9 | +5% | 남동풍 지속 영향 |
✅ 공통점: 해안선 인접 지역의 경우 강수량이 높음
▣ 전라권 (광주, 전북, 전남)
주요 지역 | 강우량(mm) | 예년 대비 | 특징 |
광주 동구 | 729.3 | +8% | 강수량 전국 평균 상회 |
전북 익산시 | 695.1 | +6% | 상반기 내내 꾸준한 비 |
전남 여수시 | 743.2 | +11% | 해상풍 영향 + 후반기 집중 호우 |
✅ 공통점: 상반기 내내 강수 꾸준, 농업 활동 영향 많음
▣ 강원권
주요 지역 | 강우량(mm) | 예년 대비 | 특징 |
강릉시 | 598.4 | -3% | 봄철 가뭄 → 여름 회복 |
원주시 | 623.5 | +2% | 내륙성 → 변동 심함 |
태백시 | 568.7 | -8% | 전국 최저 강우량권 |
✅ 공통점: 산악지형 영향 커서 지역 편차 매우 큼, 가뭄 위험도 전국 최고 수준 유지
▣ 제주권
주요 지역 | 강우량(mm) | 예년 대비 | 특징 |
제주시 | 1,213.1 | +30% | 4~6월 강우 집중, 태풍 경로 영향 |
서귀포시 | 1,279.3 | +32% | 전국 최고 |
✅ 공통점: 연강수량 2,000mm 이상 전망됨
<강우량은 단순 수치가 아닌 '생활 정보'입니다>
2025년 상반기 대한민국의 강우량은
단순한 기후 수치를 넘어 지역 안전과 생활 인프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의 강우량 변화가 어떤 생활 정보를 암시하는지
반드시 매년 체크해야 할 요소입니다.
'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햄 브랜드 순위 스팸 리챔 차이점은? (0) | 2025.07.22 |
---|---|
아기 물티슈 판매량 & 매출 순위 TOP10 최저가 사이트 공유 (0) | 2025.07.21 |
비싸도 대한항공 선호하는 고객, LCC 실적 부진 상세 재무 분석, 항공산업 동향까지 (2) | 2025.07.20 |
2025년 상반기 카드사별 포인트 적립 순위 혜택이 가장 큰 카드사는? (5) | 2025.07.20 |
명품 브랜드별 로열티 순위 브랜드 충성도 알아보기 (1)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