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2024년 대한민국 재계 순위에 대해 소개해보려 합니다.
국내 대기업들은 총 자산, 매출, 계열사 수, 지배 구조 등을 기준으로 매년 순위가 정해지는데요,
올해는 몇몇 변화가 있어 눈여겨볼 만합니다.
그럼, 2024년 기준으로 국내 기업 집단(그룹) 순위 TOP 30을 함께 살펴보시죠!
1. 2024년 국내 재계 순위 TOP 30
기준: 총자산 규모 (공정거래위원회 2024년 발표 기준)
순위 | 그룹명 | 총수 / 대표 | 총자산 (조 원) | 주요 계열사 |
1위 | 삼성 | 이재용 | 482조 | 삼성전자, 삼성생명 |
2위 | SK | 최태원 | 334조 |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
3위 | 현대자동차 | 정의선 | 288조 | 현대차, 기아 |
4위 | LG | 구광모 | 182조 | LG전자, LG화학 |
5위 | 포스코 | 최정우 | 100조 | 포스코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
6위 | 한화 | 김승연 | 92조 | 한화생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7위 | HD현대 | 정기선 | 90조 | 현대중공업, 현대오일뱅크 |
8위 | GS | 허태수 | 82조 | GS칼텍스, GS리테일 |
9위 | 농협 | 이성희 | 79조 | NH농협은행, 농협금융지주 |
10위 | 롯데 | 신동빈 | 77조 |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
11위 | KT | 구현모 | 53조 | KT, 케이뱅크 |
12위 | 미래에셋 | 박현주 | 49조 |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생명 |
13위 | 카카오 | 김범수 | 48조 | 카카오, 카카오엔터 |
14위 | 신세계 | 정용진 | 46조 |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
15위 | 한국전력 | - | 44조 | 한전, 한전KDN |
16위 | 두산 | 박정원 | 42조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중공업 |
17위 | LS | 구자은 | 41조 | LS전선, LS ELECTRIC |
18위 | 네이버 | 최수연 | 39조 | 네이버, 라인, 클로바 |
19위 | CJ | 이재현 | 37조 | CJ제일제당, CJ ENM |
20위 | 효성 | 조현준 | 36조 | 효성중공업, 효성티앤씨 |
21위 | 영풍 | 장세욱 | 33조 | 고려아연, 영풍문고 |
22위 | OCI | 백우석 | 30조 | OCI홀딩스, 에너지솔루션 |
23위 | 한국지엠 | 로베르토 렘펠 | 28조 | 쉐보레, 한국GM |
24위 | 대우조선해양 | - | 27조 | (한화그룹 인수 중 전환기 상태) |
25위 | 하림 | 김홍국 | 26조 | 하림, 팜스코, NS홈쇼핑 |
26위 | 한진 | 조원태 | 25조 | 대한항공, 한진칼 |
27위 | 넥슨코리아 | 이정헌 | 24조 | 넥슨, 네오플 |
28위 | 금호아시아나 | 박삼구 | 22조 | 아시아나항공, 금호타이어 |
29위 | 삼천리 | 유상덕 | 21조 | 삼천리, 삼천리ES |
30위 | 세아 | 이순형 | 20조 | 세아제강, 세아베스틸 |
2. 눈여겨볼 변화 포인트
1. 포스코의 상승세
2023년까지만 해도 6~7위권이었던 포스코가 5위로 올라섰습니다.
특히 이차전지 소재(양극재), 수소 사업 등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와
비철금속 분야 확장이 주효했죠.
2. 한화의 방산 강화
방산과 우주 산업에 힘을 싣고 있는 한화그룹이
2024년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6위를 지켰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글로벌 수출 증가가 핵심 요인 중 하나예요.
3. 롯데의 하락
한때 5위권이었던 롯데는 최근 몇 년간 연속 순위가 하락 중입니다.
유통 산업의 침체, 일본 자회사 이슈, 신사업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4. 기타 주목할 기업들
- 카카오: 13위권 유지, 플랫폼 기반 확대 중 (계열사 수 증가 중)
- 네이버: 18위권, AI·클라우드·콘텐츠 강화
- 셀트리온: 바이오 산업 리더로 20위권 진입
- 하이브: 엔터테인먼트 기반으로 성장 중, 계열사 확장
3. [심층 분석] 2024년 국내 3대 그룹 – 삼성·SK·현대차
대한민국 재계를 이끄는 3대 거인
‘삼성·SK·현대자동차’ 세 그룹은 대한민국 GDP의 1/4을 책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이들의 움직임은 곧 국가 산업 전략의 방향과도 맞닿아 있죠. 2024년 현재, 이 3대 그룹은 새로운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각자 다른 방식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신성장 동력 확보, 그리고 미래 산업 투자에 나서고 있어요. 지금부터 한 그룹씩 깊이 있게 파헤쳐볼게요!
1. 삼성그룹 (총수: 이재용)
그룹 개요
- 2024년 재계 순위 : 1위
- 총 자산 : 약 482조 원
- 계열사 수 : 59개
- 주요 산업 : 반도체, 모바일, 금융, 바이오, 디스플레이 등
핵심 계열사
- 삼성전자 :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글로벌 리더
- 삼성생명 / 삼성화재 : 금융권 영향력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에피스 : 글로벌 바이오 시장 공략 중
2024년 핵심 전략
- 반도체 위기 극복 : 메모리 침체 극복 + 파운드리 2위 탈환 시도 (TSMC 추격)
- AI 반도체/칩 개발 : NPU, HBM3E 등 미래형 반도체 선도
- 바이오 강화 : 미국 공장 확대, 글로벌 CMO 확대 전략
- 글로벌 M&A 추진 : 비반도체 사업 다각화를 위한 M&A 준비 중
리스크 요인
- 미중 기술 패권 갈등에 따른 수출 제약
- 고부가 반도체 시장에서의 기술 격차(파운드리)
삼성전자 관련 이슈 뉴스 보기
2. SK그룹 (총수: 최태원)
그룹 개요
- 2024년 재계 순위 : 2위
- 총 자산 : 약 334조 원
- 계열사 수 : 219개 (국내 최다)
- 주요 산업 : 에너지, 반도체, 통신, 바이오, 투자 등
핵심 계열사
- SK하이닉스 : D램/NAND 생산, AI 반도체 HBM 공급 확대
- SK이노베이션 / SK온 : 배터리 및 친환경 에너지
- SK텔레콤 / SK브로드밴드 : 통신, AI, 구독형 서비스 강화
- SK바이오팜 / SK바이오사이언스 : 제약/백신 분야 글로벌 진출 중
2024년 핵심 전략
- AI 반도체 선점 : SK하이닉스 HBM3E로 엔비디아 공급 확대
- 탄소중립 : ‘넷제로 2040’ 선언, 폐배터리 재활용 플랫폼 확대
- 글로벌 투자 확대 : 美·유럽 배터리 공장 적극 투자
- 지주회사 중심 지배구조 강화 : SK(주)의 전략적 투자자 역할 확대
리스크 요인
- 하이닉스 단일사업 의존도 높음 → 메모리 시장 침체 시 그룹 전체 흔들림
- 대규모 적자 기록 중인 SK온의 재무 리스크
3. 현대자동차그룹 (총수: 정의선)
그룹 개요
- 2024년 재계 순위 : 3위
- 총 자산 : 약 288조 원
- 계열사 수 : 56개
- 주요 산업 : 자동차, 모빌리티, 전기차, 수소차, 물류
핵심 계열사
- 현대차 / 기아 / 현대모비스 : 완성차, 부품 제조
- 현대엔지니어링 / 현대글로비스 : 물류 및 건설
- Boston Dynamics(보스턴다이내믹스) : 로봇 AI 기술 확보
2024년 핵심 전략
- 전기차 글로벌 경쟁 : 현대 아이오닉, 기아 EV 시리즈 판매 확대
- 수소차 선도 : 글로벌 유일 수소 상용차 양산
- 모빌리티 전환 : 로보택시, UAM(도심항공교통) 개발 본격화
- 北미 전기차 공장 투자 : 미국 IRA 대응 위한 미국 내 현지 생산 강화
리스크 요인
- 중국 시장 내 점유율 하락
- 글로벌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BYD, 테슬라 등)
4. 순위 권 밖 참고 포인트
- 카카오와 네이버는 IT 플랫폼 기반 그룹으로서
계열사 수 및 자산 규모 모두 급성장하며 20위권 안착. - 미래에셋은 금융투자 그룹 중 가장 빠르게 자산을 확장하며
전통 제조 대기업 사이에서 선전 중. - KT는 공기업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 후
디지털 인프라 기업으로의 재편이 성공적. - 공기업인 한전은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포함되긴 하지만
일반 재벌 그룹과는 성격이 다름 (참고용 포함).
추가 설명
- 21~30위권은 에너지, 운송, 항공, 식품, 게임 등 산업 다양성이 크게 나타나는 구간이야.
- **하림그룹(25위)**은 식품·유통·물류 통합 시스템으로 빠르게 성장 중.
- **넥슨코리아(27위)**는 게임 기업 중 유일하게 재계 순위에 진입.
- 금호아시아나, 한진, 한국지엠 등은 항공·운송 부문을 대표하는 그룹.
- 세아, 삼천리는 전통적인 중공업·에너지 기반 재벌로, 안정적인 자산 성장 지속 중.
5. 요약
TOP 10 | 삼성·SK·현대 등 전통 제조 기반 초대형 그룹 |
11~20위 | IT, 금융, 유통 기반의 신성장 그룹 대거 진입 |
21~30위 | 식품, 항공, 게임, 에너지 등 산업 다변화 그룹 집중 |
오늘은 국내 재계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결국, 우리가 아는 대기업들이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해 확인된 공식 자산만으로도 TOP10 내에 대부분 위치해 있었습니다. 아직 국내는 제조기반의 회사들이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큰 국내 상황을 알 수 있는 것이죠. 최근 직업 관련 트렌드를 보면, 회사들의 순위 변화도 알 수 있는데요, 특히 20위 이후의 회사들의 경우 성장세와 사람들이 주로 활용하고 있는 플랫폼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에 더 재밌는 순위로 돌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