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2025년 대학별 장학금 수혜율 순위 TOP10
기묘한 통계
2025. 7. 7. 08:30
반응형
대학교 등록금이 비싸다고 해서 그 학교가 꼭 학생들에게 부담이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실제 부담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는 **‘장학금 지급률’과 ‘수혜율’**입니다.
2025년 현재 국내 주요 사립대학들은
✔ 등록금 부담 완화와
✔ 우수 인재 유치,
✔ 지역 간 격차 해소 등을 위해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실제로 ‘학생 1인당 평균 장학금’이
200만 원을 넘는 대학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1. 2025년 장학금 수혜율 TOP10 대학교
순위 | 대학교 | 수혜율 (%) | 1인당 평균 장학금 (원) | 특징 |
---|---|---|---|---|
1 | 한동대학교 | 96.3% | 3,110,000 | 전체 학생 대상 고른 장학제도 운영 |
2 | 가천대학교 | 95.8% | 2,870,000 | 입학생 전원 성적 기반 장학 확대 |
3 | 성신여자대학교 | 94.5% | 2,560,000 | 학업+가계형 병행 장학 운영 |
4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93.2% | 2,430,000 | 국립대 중 상위권, 기초생활수급자 중심 지원 |
5 | 인하대학교 | 92.8% | 2,780,000 | 성적 우수자+소득 연계 탄탄 |
6 | 중앙대학교 | 91.3% | 3,030,000 | 입학장학금 비중 크고 전공별 차등 |
7 | 동덕여자대학교 | 90.5% | 2,190,000 | 여성대학 중 장학 수준 높음 |
8 | 한양대학교(ERICA) | 89.8% | 2,710,000 | 성적우수+산학장학 비율 높음 |
9 | 동국대학교(서울) | 88.7% | 2,620,000 | 인문/예체능계열 특화 장학 운영 |
10 | 숭실대학교 | 87.5% | 2,480,000 | ICT계열 중심 장학제도 집중 |
한국장학재단
x 서비스 이용자 등록/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한국장학재단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원하지 않는 경우 '돌아가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www.kosaf.go.kr
2. 장학금 수혜율 높은 대학의 공통점
✅ 신입생 장학금 확대 | 입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성적 기반 전원 장학금 지급 |
✅ 학점 연계형 장학금 | 재학생의 학업 유지 관리형 장학금 다수 |
✅ 정부지원장학 연계 | 국가장학금 + 대학 자체 지원 연계 시스템 |
✅ 가계형 / 형평성 고려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대상 비율 확대 |
3. 2025년 국내 가성비 대학 TOP10
순위 | 대학교 | 1학기 등록금 (원) | 장학금 수혜율 (%) | 특징 |
---|---|---|---|---|
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650,000 | 93.2% | 국립대+공학 실습 우수 |
2 | 춘천교육대학교 | 2,430,000 | 92.5% | 교대 중 장학금 상위권 |
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2,890,000 | 91.8% | 공학특성화+전문기술 인재 양성 |
4 | 한동대학교 | 2,980,000 | 96.3% | 장학금 최고 수준, 기독교계 특성화 |
5 | 가천대학교 | 3,020,000 | 95.8% | 신입생 전원 장학금 혜택 |
6 | 제주대학교 | 2,610,000 | 90.3% | 지역균형+기초의과학 지원 강함 |
7 | 서울시립대학교 | 2,470,000 | 89.1% | 서울 거주자 등록금 할인 혜택 |
8 | 충남대학교 | 2,780,000 | 87.2% | 국립대 장점+지역 캠퍼스 확대 |
9 | 세명대학교 | 2,960,000 | 92.4% | 소형 사립대지만 장학 집중 |
10 | 우송대학교 | 3,000,000 | 88.9% | 글로벌 조리·의료 분야 특성화 |
4. 가성비 대학 TOP10 선정 기준
등록금 수준 | 1학기 평균 300만 원 이하 |
장학금 수혜율 | 85% 이상 |
졸업 후 진로 | 취업률 70% 이상 or 교대/특수전문대 |
기타 요건 | 전공 다양성, 실습 인프라, 지역 균형 |
5. 수도권 vs 지방 대학 등록금·장학금 비교 분석
많은 학생과 학부모가 수도권 대학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등록금과 장학금 측면에서 보면, 지방 대학이 훨씬 더 ‘가성비’ 있는 선택일 수 있습니다.
등록금만 놓고 비교하면 수도권 대학이 평균 15~20% 더 비싸며,
장학금 수혜율도 최근엔 지방 국립대를 중심으로 급격히 향상되고 있습니다.
구분 | 수도권 대학 평균 | 지방 대학 평균 | 차이 |
---|---|---|---|
1학기 등록금 | 3,950,000원 | 3,270,000원 | 약 ▲680,000원 |
장학금 수혜율 | 85.1% | 91.7% | 약 ▲6.6%p |
1인당 장학금(연간) | 3,760,000원 | 4,220,000원 | 약 ▲460,000원 |
국가장학금 수혜자 비율 | 62% | 76% | ▲14%p |
- 수도권은 브랜드, 지방은 실질적 혜택
→ 학비는 수도권이 확실히 높지만, 지방 대학은 소득연계형 장학금 비율이 매우 높음
→ 특히 지역 거점 국립대(부산대·전남대·충남대 등)는 1학기 등록금이 250만 원대 수준임 - 지방대 유치 정책의 효과
→ 정부가 지방 청년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해 등록금 지원, 기숙사 확충, 장학금 예산을 집중하고 있음 - 입시 전략 차원에서도 고려할 수 있음
→ 수도권 중하위권보다 지방 최상위권이 교육의 질·학비 부담 측면에서 더 합리적일 수 있음
6. 추천 참고 대학 예시 (지방 기준)
대학 | 1학기 등록금 | 장학금 수혜율 | 비고 |
경북대학교 | 약 2,700,000원 | 91.4% | 국립대 중심, 의대/수의대 포함 |
전남대학교 | 약 2,680,000원 | 92.1% | 자연과학계열 강세 |
충남대학교 | 약 2,720,000원 | 90.9% | 대전권 유일 거점 국립대 |
강원대학교 | 약 2,650,000원 | 94.6% | 의·수의·공학계열 특화 |
제주대학교 | 약 2,610,000원 | 90.3% | 지역특화 장학금 연계 |
7. 수도권 선호, 반드시 비용 대비 효과적인가?
진짜 ‘가성비’ 있는 대학 선택은
- “명문대 타이틀”이 아니라,
- “등록금 대비 장학금 수혜 + 교육 성과”에 있습니다.
지방대라고 무조건 불리한 시대는 지났습니다.
수도권 대학이 아닌 지방 명문대를 선택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해마다 증가 중이며,
특히 의료·공학·ICT 계열 특성화 대학의 경쟁력은 수도권 못지않습니다.
본인이 앞으로 살아갈 때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식, 기술에 맞춰서 가성비 있고 미래지향적인 선택을
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