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2025년 전 세계 미세먼지(PM2.5) 농도 높은 도시 TOP10
기묘한 통계
2025. 7. 11. 08: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세먼지! 요즘 너무 중요하죠..
예전에는 미세먼지라는 지표도 없었는데 최근에는 필수 환경 지표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럼 미세먼지는 무엇인지, 어떤 도시들이 미세먼지가 높은지 한 번 알아보시죠.
1️⃣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아주 작은 먼지 입자로,
특히 **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PM2.5)**는
폐포 깊숙이 침투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PM10: 지름 10㎛ 이하 (눈에 보일 수 있음)
- PM2.5: 지름 2.5㎛ 이하 (눈에 거의 보이지 않음, 훨씬 유해)
🚨 PM2.5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습니다.
2️⃣ PM2.5 기준: 위험 수준과 건강 영향
구분 | PM2.5 농도 (㎍/㎥) | WHO 기준 | 건강 영향 |
좋음 | 0 ~ 5 | ✅ 안전권 | 무해 |
보통 | 6 ~ 12 | ⚠️ 감시 필요 | 경미한 자극 |
나쁨 | 13 ~ 35 | ❗ 장기노출 위험 | 호흡기 악화 |
매우 나쁨 | 36 ~ 55 | ❗❗ 심각한 건강 위험 | 폐·심혈관계 영향 |
최악 | 56 이상 | 🚨 중대한 질병 유발 가능 | 암, 조기사망 등 |
3️⃣ 전 세계 미세먼지 농도 높은 도시 TOP10 (2025년 기준)
순위 | 도시명 | 국가 | 평균 PM2.5 농도 (㎍/㎥) | 비고 |
---|---|---|---|---|
1 | 라호르 | 파키스탄 | 99.5 | 세계 최악 수준, 산업·수송·난방이 주 원인 |
2 | 호탠 | 중국 | 94.7 | 사막화와 석탄 발전 영향 |
3 | 델리 | 인도 | 91.3 | 자동차, 화석연료, 농작물 소각 혼합 |
4 | 다카 | 방글라데시 | 85.2 | 교통 혼잡 + 슬럼가 화석 연료 사용 |
5 | 비샤카파트남 | 인도 | 82.5 | 공업단지 집중 지역 |
6 | 페샤와르 | 파키스탄 | 78.6 | 발전소 + 도로먼지 결합 |
7 | 베이징 | 중국 | 77.8 | 스모그 지속 문제, PM 규제 강화 중 |
8 | 카불 | 아프가니스탄 | 74.9 | 디젤·석탄 난방 비중 높음 |
9 | 우란바토르 | 몽골 | 71.2 | 겨울 석탄 난방 집중, 대기정체 |
10 |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 | 70.5 | 교통 중심 대기오염 |
2024 세계에서 공해가 가장 심한 국가 - PM2.5 순위 | IQAir
2024 세계에서 공해가 가장 심한 국가 - PM2.5 순위 | IQAir
2024 현재 세계에서 공해가 가장 심한 국가를 찾아보세요. 공해 PM2.5의 레벨이 가장 높은 국가가 어디인지 확인해보세요. IQAir AirVisual 세계 공기질 보고서를 다운로드 하세요.
www.iqair.com
4️⃣ 도시별 무엇이 오염을 유발하는가?
🇵🇰 라호르 (Lahore)
- 파키스탄 2대 도시
- 인구 폭증, 발전소, 벽돌가마, 디젤 트럭 등
- 겨울철 기온 역전으로 오염 정체 심각
🇮🇳 델리 (Delhi)
- 세계 최악의 수도 대기질
- 농작물 소각과 차량 매연, 발전소 매연 혼합
- 호흡기 질환 유병률 높음 (소아천식 ↑)
🇨🇳 호탠, 베이징
- 사막화와 석탄 비중이 여전히 문제
- 베이징은 규제 강화로 오염 감소 중
- 그러나 난방기 피크 시즌엔 다시 급등
5️⃣ 각국의 미세먼지 대응 정책
✅ 중국
- 공장 이전, 친환경 발전소 확대
- 차량 통행제, 석탄 사용 축소
✅ 인도
- PM2.5 측정소 확대
- 농작물 소각 규제 시작 (2024년부터)
✅ 몽골
- 수도권 석탄 난방 금지 정책 시행
- 전기 난방 보조금 지급
6️⃣ 한국의 순위는?
- 2024년 기준 평균 PM2.5: 19.5㎍/㎥
- OECD 평균 대비 1.8배 높음
- 주요 도시 중 수도권·대전·대구 농도 상대적으로 높음
- 세계 순위 약 32~35위권 (2023년: 34위)
우리나라의 순위가 그래도 양호하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도시별로는 편차가 있는편입니다.
항상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갖고 하나라도 줄일 수 있는 무언가를 실천해야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