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기준 국내 검색 엔진 점유율 네이버 독주 계속? 구글 반격?
검색은 오늘날 인터넷의 시작입니다.
뉴스, 쇼핑, 여행, 공부, 맛집 검색까지 우리는 매일 검색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검색을 ‘어디에서’ 하느냐에 따라 결과와 경험은 크게 달라집니다.
2025년 상반기 현재, 대한민국 검색엔진 시장은
네이버, 구글, 다음(카카오) 3강 체제 속에서
특정 세대, 플랫폼별 검색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국내 검색 엔진 점유율 순위,
세대별 이용 패턴, 시장 변화의 의미를 분석하며,
검색 활용 꿀팁과 함께 향후 전망까지 함께 정리합니다.
1. 2025년 상반기 국내 검색엔진 점유율 TOP5
순위 | 검색엔진 | 점유율 (%) | 주요 특징 |
---|---|---|---|
1 | 네이버 (Naver) | 54.3% | 국내 최대 검색 포털, 블로그/카페 강세 |
2 | 구글 (Google) | 37.9% | 모바일·Z세대 중심 성장세 지속 |
3 | 다음 (Daum) | 5.1% | 뉴스, 시니어 이용자 기반 유지 |
4 | Bing | 1.2% | MS 기본 브라우저 Edge 영향 |
5 | Yahoo / 기타 | 1.5% | 극소수 이용자, 외국인 기반 등 |
Search Engine Market Share Republic Of Korea | Statcounter Global Stats
Search Engine Market Share Republic Of Korea | Statcounter Global Stats
This graph shows the market share of search engines in South Korea based on over 5 billion monthly page views.
gs.statcounter.com
2. 주요 인사이트 요약
✅ 1. 네이버, 여전히 1위… 그러나 '점유율은 하락세'
- 네이버 점유율은 2020년 60%대 초반 → 2025년 50%대 중반
- 콘텐츠·검색품질 피로도와 AI시대 정보 검색의 변화로 점차 하락세
- 그러나 여전히 블로그·카페·지식인·통합검색의 압도적 기반 유지
✅ 2. 구글, 모바일과 젊은층 중심으로 약진
- 특히 10~30대에서 구글 사용률이 55% 이상
- 유튜브+검색 연계성 강점 → "검색도 유튜브에서 한다"
- AI검색 Bard, Gemini 탑재로 검색방식 다변화
✅ 3. 다음(카카오), 점유율은 낮지만 특정층 충성도 높음
- 40~60대 사용자 다수
- 뉴스 포털, 부동산, 로컬 검색에서 여전히 활용도 있음
- 하지만 카카오톡 외 플랫폼 통합 실패로 점유율 점진 하락
✅ 4. Bing, Copilot 도입에도 제한적 성장
- Microsoft Edge 브라우저에 기본 설정되어 일부 점유율 확보
- ChatGPT 연동 기능 탑재 이후 AI 검색으로 소폭 반등
- 다만 한국어 검색 경험/결과 품질은 제한적
3. 세대별 검색 엔진 선호도 변화
연령대 | 주요 검색엔진 | 특징 |
10대 | 구글, 유튜브 | 영상 검색 주도 / 텍스트 검색 이탈 |
20대 | 구글 > 네이버 | 실용성 중심, 광고 비중 기피 |
30대 | 네이버 ≈ 구글 | 이중 활용 비율 ↑ |
40대 | 네이버 > 다음 | 블로그·카페 정보 선호 |
50대 이상 | 다음 > 네이버 | PC 중심 검색, 보수적 전환율 |
4. 디바이스별 점유율 차이
디바이스 | 네이버 | 구글 | 다음 |
PC | 57.2% | 35.1% | 6.3% |
모바일 | 50.6% | 42.7% | 4.2% |
- PC에서는 네이버가 강세, 모바일에서는 구글의 성장세 두드러짐
- 음성 검색, AI 검색, 모바일 콘텐츠 소비 증가가 구글에 우호적으로 작용
5. 검색 트렌드 분석 (2025 버전)
“검색보다 TikTok / 유튜브 검색 먼저!”
- 특히 20대 초반 이하에서는 ‘글보다 영상’
- 레시피, 메이크업, 전자기기 등은 유튜브 검색이 더 빠름
“SEO(검색최적화)로 인한 정보 신뢰도 하락”
- 네이버의 블로그 검색 결과: 광고성 콘텐츠 다수
- 실제 소비자 후기 찾기 어려움 → 구글로 전환 증가
“AI 챗봇 검색 결합”
- 구글 Gemini, 마이크로소프트 Copilot, 네이버 HyperCLOVA X
→ “요약형 정보, 대화형 검색”으로 변화 중
"SEO에서 GEO로! 검색 엔진 속일 수 있는 시대 지났다"… 박세용 어센트코리아 대표 | Save Internet 뉴데일리
"SEO에서 GEO로! 검색 엔진 속일 수 있는 시대 지났다"… 박세용 어센트코리아 대표
검색 결과에서 자사의 페이지가 잘 노출되도록 하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에 따라 변곡점을 맞이했다. 이제 편법은 통하지 않으며, 검색 흐름을 커버하는 진정성
biz.newdaily.co.kr
6. 사용자 검색 활용 팁
네이버
- 카페/지식인/실시간 검색에 강함
- 지역 소상공인, 한글 키워드 검색에 효과적
구글
- 영문 키워드, 개발, 연구, 번역 자료에 강함
- “site:.kr” 또는 “filetype:pdf” 검색으로 고급 자료 찾기
다음
- 시니어층, 뉴스/기자 기반 키워드 검색
- 단, 최근 콘텐츠 업데이트 빈도 감소
7. 마무리 요약
국내 1위 검색엔진 | 여전히 네이버 (약 54%) |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엔진 | 구글 (특히 모바일에서) |
세대별 선호 | 젊은층 = 구글, 중장년 = 네이버·다음 |
향후 키워드 | AI 검색, 영상 중심 검색, 정보 신뢰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