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2025년 상반기 여성 기초 화장품 브랜드 매출 & 판매량 TOP 분석

기묘한 통계 2025. 7. 24. 08: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상반기 기준으로 여성 기초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과 판매량 순위를 분석해보려고 해요.

단순한 순위 나열이 아니라, 브랜드별 특성과 소비자들의 선호도, 제품 트렌드까지 전부! 파헤쳐보겠습니다.

 

2025년은 성분 중심, 친환경, 저자극, 고기능 제품이 인기를 끌며 소비자 트렌드가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기초 화장품 범주는 스킨/토너, 로션/에멀전, 에센스/세럼, 크림, 아이크림, 미스트, 클렌저 등을 포함합니다.

 

 

1. 분석 기준

  • 매출 기준: 2025년 1월 ~ 6월까지 주요 오프라인 유통망 (올리브영, 백화점, 드럭스토어), 온라인 플랫폼 (쿠팡,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무신사 뷰티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 판매량 기준: 출하량, 판매된 개수 기준.
  • 출처: 닐슨코리아, 카운터포인트, 각 브랜드 공개 자료, 뷰티 전문 리서치 플랫폼 W Concept Lab, 뷰티유튜브 트렌드 리포트(2025).

👉 라네즈 기초화장품 최저가 바로가기

 

2. 2025년 상반기 여성 기초 화장품 브랜드 TOP 15 (매출 & 판매량)

순위 브랜드명 주요 제품 2025 상반기 매출(억원) 판매량(만 개) 대표 소비층
1 라네즈 워터뱅크 히알루론 크림 472 110 20~30대 직장 여성
2 피지오겔 DMT 페이셜 크림 453 102 민감성 피부 여성
3 에스트라 아토베리어 365 크림 442 95 30~40대 피부과 고객층
4 닥터지 레드 블레미쉬 크림 410 91 여드름 피부, 10~20대
5 이니스프리 그린티 씨드 세럼 398 89 10~20대 자연주의 소비자
6 한율 어린쑥 진정 에센스 375 83 내추럴 화장품 선호층
7 더랩바이블랑두 시카 마일드 토너 362 80 민감성 피부 전 연령
8 아비브 어성초 카밍 크림 341 75 트러블 진정 관심층
9 이솝 (Aesop) 카멜리아 너리싱 크림 330 52 프리미엄 자연주의 선호층
10 라로슈포제 시카플라스트 밤 B5 319 68 피부과 추천 브랜드 선호층
11 AHC 리얼 아이크림 포 페이스 308 66 30~50대 여성
12 미샤 타임레볼루션 나이트 리페어 296 70 합리적 가격 추구층
13 스킨푸드 캐롯 카로틴 크림 284 72 가성비 & 내추럴 중시층
14 셀퓨전씨 트리악 스팟 마스크 271 60 지성 & 여드름성 피부
15 비플레인 시카풀 앰플 259 58 비건/저자극 선호 MZ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2949

 

[약업신문] 저가 화장품, 유통가 다크호스로 떠올라

c. DALL-E유통업계 전반에서 저가 화장품 브랜드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편의점, 대형마트, 온라인 플랫폼까지 앞다퉈 나서는 중이다. 저가화장품 유통의 원조 다이소보다 낮은 가격으로

www.yakup.com

 

 

3. 브랜드별 특성 & 소비자 분석

 

1. 라네즈 (LANEIGE)

  • 대표 제품: 워터뱅크 블루 히알루론 크림
  • 주요 특징: 고보습 수분 케어, 히알루론산 고함량, 가벼운 텍스처
  • 소비자층: 20~30대 직장 여성
  • 선호 이유: 데일리 수분 케어에 적합하며, 브랜드 신뢰도 높음
  • 전략 포인트: K-뷰티 글로벌 수출, BTS 콜라보로 글로벌 인지도 확대

 

2. 피지오겔 (Physiogel)

  • 대표 제품: DMT 페이셜 크림, 카밍 릴리프 로션
  • 주요 특징: 무자극, 저자극, 장벽 강화에 탁월
  • 소비자층: 민감성·건성 피부, 30~40대 중심
  • 선호 이유: 트러블/알러지 피부도 안심 사용
  • 전략 포인트: 피부과 추천 브랜드로 자리매김

 

3. 에스트라 (AESTURA)

  • 대표 제품: 아토베리어 365 크림
  • 주요 특징: 피부장벽 강화 기능, 바이오더마틱스 기술 기반
  • 소비자층: 30~50대 민감성 피부 여성
  • 선호 이유: 피부과에서 처방된 경험, 전문 신뢰감
  • 전략 포인트: 병원·약국 유통 확대 + 더마 브랜드 이미지 강화

 

4. 닥터지 (Dr.G)

  • 대표 제품: 레드 블레미쉬 수딩 크림
  • 주요 특징: 여드름성 피부 진정, 논코메도제닉 인증
  • 소비자층: 10대 후반 ~ 20대 초반 트러블 피부층
  • 선호 이유: 피부 진정 효과가 즉각적, 저자극 테스트 완료
  • 전략 포인트: 유튜버 협업 리뷰 + 올리브영 상위 노출 전략

 

5. 이니스프리 (Innisfree)

  • 대표 제품: 그린티 씨드 세럼
  • 주요 특징: 제주 녹차 추출물, 상쾌한 수분감
  • 소비자층: 10~20대 학생, 자연주의 추구층
  • 선호 이유: 향이 은은하고 산뜻함, 가격대 합리적
  • 전략 포인트: 지속가능 패키징, 클린뷰티 강조

 

6. 한율 (Hanyul)

  • 대표 제품: 어린쑥 진정 에센스
  • 주요 특징: 한국 전통 원료 기반, 쑥 성분 진정 효과
  • 소비자층: 20~40대 자연주의 취향 여성
  • 선호 이유: 피부에 순하고 자연 향이 힐링 효과
  • 전략 포인트: 한방과 자연의 융합 이미지, 감성 마케팅

 

7. 더랩바이블랑두 (The Lab by Blanc Doux)

  • 대표 제품: 시카 마일드 토너
  • 주요 특징: pH 밸런스 유지, 무향·무색·무자극
  • 소비자층: 민감성 피부 모든 연령층
  • 선호 이유: 단순하고 효과적인 성분구성, 트러블 걱정 없음
  • 전략 포인트: 미니멀 패키징 + 성분 투명화 캠페인

 

8. 아비브 (Abib)

  • 대표 제품: 어성초 카밍 크림
  • 주요 특징: 트러블 진정, 어성초 고함량 함유
  • 소비자층: 10~20대 여드름/지성 피부
  • 선호 이유: 진정 효과 좋고 번들거림 없음
  • 전략 포인트: SNS 바이럴, 감각적 비주얼 마케팅

 

9. 이솝 (Aesop)

  • 대표 제품: 카멜리아 너리싱 크림
  • 주요 특징: 식물성 성분, 아로마 향 중심의 감성 브랜드
  • 소비자층: 30~50대 프리미엄 소비자층
  • 선호 이유: 고급스러운 향과 피부의 잔향감 유지
  • 전략 포인트: 매장 경험 마케팅, 유럽 감성 브랜딩

 

10. 라로슈포제 (La Roche-Posay)

  • 대표 제품: 시카플라스트 밤 B5
  • 주요 특징: 피부 재생, 진정 효과, 약산성
  • 소비자층: 민감·아토피성 피부, 피부과 유입 고객
  • 선호 이유: 피부 자극 없이 흡수력 우수
  • 전략 포인트: 더마 브랜드 인지도 + 피부과 추천 라벨

 

11. AHC

  • 대표 제품: 리얼 아이크림 포 페이스
  • 주요 특징: 아이크림을 페이스 크림처럼 사용
  • 소비자층: 30~50대 여성층
  • 선호 이유: 눈가 탄력 개선 + 전체 얼굴 리프팅 효과
  • 전략 포인트: 홈쇼핑·온라인 전용 기획상품 강화

 

12. 미샤 (MISSHA)

  • 대표 제품: 타임레볼루션 나이트 리페어 앰플
  • 주요 특징: 보랏빛 발효 앰플, 안티에이징 강화
  • 소비자층: 30~40대 여성, 가성비 중시층
  • 선호 이유: 비싼 외국 브랜드 대체 가능
  • 전략 포인트: 백화점 브랜드급 성분 VS 합리적 가격 전략

 

13. 스킨푸드 (Skinfood)

  • 대표 제품: 캐롯 카로틴 카밍 워터 패드
  • 주요 특징: 당근 추출물 진정 효과, 패드형 수분 공급
  • 소비자층: 10~30대 내추럴 취향층
  • 선호 이유: 사용 간편, 향이 부담스럽지 않음
  • 전략 포인트: 먹는 콘셉트와 피부 영양 연결

 

14. 셀퓨전씨 (Cell Fusion C)

  • 대표 제품: 트리악 스팟 마스크, 레이저 썬스크린
  • 주요 특징: 의약품 기반 더마 화장품, 여드름 진정 효과
  • 소비자층: 여드름성 피부 10~30대
  • 선호 이유: 피부과 처방 후 꾸준히 사용하는 브랜드
  • 전략 포인트: 전문 더마 이미지 강화 + 학회/피부과 연계

 

15. 비플레인 (beplain)

  • 대표 제품: 시카풀 앰플, 녹두 클렌징
  • 주요 특징: 비건 인증, EWG 그린 등급 중심
  • 소비자층: MZ세대, 저자극·친환경 중시
  • 선호 이유: 성분 투명성 + 환경을 생각하는 이미지
  • 전략 포인트: 클린뷰티 마케팅, 미니멀 감성 강화

 

4. 2025년 상반기 기초 화장품 트렌드 요약

트렌드 키워드 설명
성분 중심화 전성분 확인 앱 사용 증가, EWG 등급 중요시
기능성 저자극 트러블 민감성 소비자 증가
클린 뷰티 비건/동물실험 반대 브랜드 선호
고기능 × 심플 한 제품에 여러 기능을 담은 '멀티 기능성' 제품 인기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의 철학·스토리에 가치 부여

 

 

2025년 상반기, 기초 화장품 시장은 과잉 마케팅이 아닌 진정성, 성분, 신뢰를 중심으로 움직였습니다.

‘좋은 브랜드’는 ‘많이 팔린 브랜드’가 아니라, 소비자의 피부와 삶을 진심으로 생각한 브랜드라는 점,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