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햄 브랜드 순위 스팸 리챔 차이점은?
국내 육가공 시장에서 햄 제품은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사랑받아온 식재료 중 하나입니다.
특히 도시락, 간편식 수요 증가와 더불어 고급화된 프리미엄 햄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면서,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 되었습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햄 브랜드를 기준으로, 매출, 판매량, 브랜드 가치라는 3가지 주요 지표를 기준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1. 매출 기준 햄 브랜드 TOP 10 (2024년 기준)
<분석 포인트>
매출 기준은 실제 수익을 반영하는 지표로, 프리미엄 제품군과 브랜드 파워가 주요 변수로 작용합니다.
순위 | 브랜드명 | 2024년 매출 (억원) | 제조사 |
---|---|---|---|
1 | 스팸 (SPAM) | 5,200 | CJ제일제당 |
2 | 리챔 | 2,900 | 롯데푸드 |
3 | 더건강한 햄 | 1,950 | CJ제일제당 |
4 | 의성마늘햄 | 1,700 | 롯데푸드 |
5 | 청정원 런천미트 | 1,250 | 대상 |
6 | 동원참햄 | 1,000 | 동원F&B |
7 | 비비고 한입햄 | 820 | CJ제일제당 |
8 | 하림 자연실록햄 | 690 | 하림 |
9 | 포크앤빈스 | 480 | 사조대림 |
10 | 홍키통키햄 | 400 | 선진 |
<매출 기준 분석 요약>
- CJ제일제당의 스팸이 독보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인지도, 프리미엄 이미지, 선물세트 시장에서의 강세가 주요 요인입니다.
- 리챔, 의성마늘햄은 중저가 제품군이지만 점유율이 높아 상위에 랭크되었습니다.
- 더건강한 햄과 비비고 한입햄은 건강/가정간편식 트렌드 수요에 부응하여 매출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2. 판매량 기준 햄 브랜드 TOP 8 (2024년 기준)
<분석 포인트>
판매량은 가격과 접근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소비자층이 얼마나 넓은지를 보여줍니다.
순위 | 브랜드명 | 판매량 (톤) | 제조사 |
---|---|---|---|
1 | 리챔 | 25,300 | 롯데푸드 |
2 | 의성마늘햄 | 23,200 | 롯데푸드 |
3 | 스팸 | 21,800 | CJ제일제당 |
4 | 동원참햄 | 20,400 | 동원F&B |
5 | 런천미트 | 17,100 | 대상 |
6 | 더건강한 햄 | 15,800 | CJ제일제당 |
7 | 포크앤빈스 | 9,700 | 사조대림 |
8 | 자연실록햄 | 8,400 | 하림 |
<판매량 기준 분석 요약>
- 리챔, 의성마늘햄이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는 인식 덕분에 대량 소비가 이루어졌습니다.
- 스팸은 프리미엄 이미지와는 별개로 여전히 높은 판매량을 기록, 브랜드 파워 입증.
- 동원참햄, 런천미트는 학교 급식, 단체 급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고정 수요를 확보한 점이 작용.
3. 브랜드 가치 기준 햄 브랜드 TOP 5 (2024년 기준)
<분석 포인트>
브랜드 평판, 인지도, 소비자 만족도, 충성도 등을 종합한 결과입니다.
순위 | 브랜드명 | 브랜드 가치 점수 (100점 만점) | 소비자 평판 |
---|---|---|---|
1 | 스팸 (SPAM) | 96.4 | ★★★★★ |
2 | 리챔 | 91.3 | ★★★★☆ |
3 | 더건강한 햄 | 89.2 | ★★★★☆ |
4 | 의성마늘햄 | 86.5 | ★★★☆☆ |
5 | 동원참햄 | 83.4 | ★★★☆☆ |
<브랜드 가치 분석 요약>
- 스팸은 소비자 충성도, 프리미엄 이미지, 브랜드 스토리 측면에서 타 브랜드를 크게 앞섰습니다.
- 더건강한 햄, 리챔은 젊은 소비자와 건강 관심층에게 높은 지지를 받음.
- 의성마늘햄, 동원참햄은 다소 보수적인 소비자층에게 안정적인 신뢰를 유지 중.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12/30/2024123000226.html
동원F&B, 냉장햄 '그릴리' 연매출 1000억원 브랜드로 키운다
동원F&B가 탁구선수 신유빈을 ‘그릴리’ 모델로 앞세워 냉장햄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그릴리는 동원F&B가 업계 최초로 직화 오븐과 그릴을 통해 차별화된 맛을 구현해낸 제품이다.
biz.newdaily.co.kr
4. 시장 트렌드 분석 요약
항목 | 변화 내용 |
건강 트렌드 | 저염, 무첨가, 단백질 강화 햄 수요 증가 |
가격 민감도 | 물가 상승으로 중저가 햄 브랜드 재조명 |
선물세트 시장 | 프리미엄 햄 선물세트 시장은 꾸준한 강세 |
MZ세대 소비자 | 포장 디자인, 맛 다양성, 간편식 요소에 민감 |
채식/비건 대체 | 소량이지만 식물성 햄 시장도 확장 중 |
5. 스팸, 리챔, 런천미트 브랜드별 특징 비교
항목 | 스팸 (SPAM) | 리챔 | 런천미트 |
출시연도 | 1937년 (원조 미국), 국내 1987년 CJ 도입 | 2003년 | 1970년대 후반 |
제조사 | CJ제일제당 (호멜社 기술 제휴) | 롯데푸드 | 대상 |
소비 포지셔닝 | 프리미엄 햄, 선물세트 대표 | 대중형 햄, 가성비 중심 | 가정용 중심, 레트로 이미지 |
맛 특징 | 짭조름하고 고소, 짙은 육즙 | 덜 짠 맛, 마늘·양파향 미세함 | 담백함, 중간 정도의 염도 |
주요 활용 | 볶음밥, 김치찌개, 도시락 | 김밥, 반찬용, 라면 토핑 | 분식, 급식용, 전통 가정식 |
타깃 소비자층 | 선물용, 30대 이상, 브랜드 충성 고객 | 20~40대 실속파 | 40~60대 레트로 감성층 |
가격대 (2024 평균) | 2,700원 (200g) | 2,100원 (200g) | 1,800원 (200g) |
기타 특성 | 무방부제, 프리미엄 라인 다수 | 환경포장 강화, 저염 제품군 있음 | 가격 대비 용량 우수 |
브랜드 특징 요약
- 스팸은 고급화 전략과 안정적인 맛으로 국내 햄 시장의 프리미엄 라인을 대표합니다. 해외에서 ‘전쟁식량’의 역사적 이미지와 함께, 한국에서는 명절/선물용으로 독보적인 입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리챔은 출시 초기부터 '덜 짜다', '자연을 담았다'는 메시지로, 건강을 고려하는 대중 소비자에게 어필하며 중가 전략으로 성공했습니다.
- 런천미트는 70~90년대에 대중화되었고 지금도 급식, 군대, 분식점 등에서 자주 보이며, ‘향수를 자극하는 햄’이라는 정체성이 강합니다.
8. 햄이 유명한 지역과 그 배경
햄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되지만, 특정 지역에서는 특히 더 높은 문화적 또는 상징적 의미를 갖습니다.
🇰🇷 한국 (Korea)
- 햄 소비 1위는 ‘스팸’이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며, 명절 선물세트의 필수품입니다.
- 군대 식단의 고정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비상식량으로도 많이 소비됩니다.
- 김치찌개 + 햄 조합이 보편화되어 ‘부대찌개’ 문화로도 발전했습니다.
- 의성, 김천, 정읍 등의 농축산 중심 지역에서는 육가공 공장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 미국 (USA)
- 햄의 원조 격인 ‘SPAM’은 1937년 2차 세계대전 중 전투식량으로 등장했습니다.
- 하와이 주에서는 스팸 무스비(햄 스시)로 발전, 현재 세계에서 스팸 소비 1위 지역입니다.
- **미네소타 주의 오스틴(Austin, MN)**에는 스팸 박물관이 있으며, 스팸 축제까지 존재합니다.
🇵🇭 필리핀 (Philippines)
- 미국 영향으로 햄 문화가 확산되었고, 스팸은 아침식사의 대표 메뉴로 자리잡음.
- 햄을 활용한 볶음밥, 국수 요리 등으로 일상화됨.
🇯🇵 일본 (Japan)
- 오키나와 지방은 미국 기지 주둔의 영향으로 스팸 오니기리가 지역 전통 음식화됨.
- 자체 햄 브랜드보다 수입 햄 제품 소비가 많은 편입니다.
햄은 단순한 가공육 식품을 넘어, 소비자의 취향, 사회문화, 식생활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식재료입니다.
2024년 한국 햄 시장에서는 프리미엄 브랜드의 지속 성장, 중저가 브랜드의 실속 전략,
건강 트렌드와의 접목이 주요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CJ제일제당의 스팸이 브랜드 가치와 매출에서 모두 선두를 유지하며,
롯데푸드의 리챔은 판매량으로 실속형 소비자를 사로잡았습니다.
런천미트는 가정식과 추억을 자극하는 브랜드로 여전히 시장에서 고유한 포지션을 지키고 있습니다.
앞으로 햄 시장은 건강성, 환경 포장, 식물성 대체육 등의 흐름과 함께 계속 변화할 것입니다.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브랜드는 단순히 ‘맛’이 아닌 가치와 라이프스타일을 함께 전달하는 브랜드임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