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2025년 상반기 기준 국내 편의점 TOP 브랜드 비교 분석 점유율, 매장수, 매출, 특화매장 분포까지
기묘한 통계
2025. 7. 31. 08:30
반응형
왜 지금, 편의점 시장 점유율이 중요할까?
2025년 대한민국 유통산업에서 가장 격렬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편의점 시장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디서든 쉽게 찾을 수 있고, 필요한 것만 빠르게 살 수 있는 공간’이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최전방 소매 유통 전쟁터죠.
특히 최근 편의점은 단순 물품 판매를 넘어서
- 카페형 매장
- 도시락·밀키트 프리미엄존
- 공유 주방형 편의점
- 무인·AI 스마트 편의점
등 공간 혁신과 매장 유형 다변화로 급변하고 있습니다.
1. 2025년 상반기 기준 편의점 브랜드 주요 지표
브랜드 | 시장 점유율 (%) | 총 매장 수 | 평균 매장당 매출 (연) | 특화 매장 수 | 대표 특화 유형 |
---|---|---|---|---|---|
GS25 | 34.5% | 15,800개 | 5.9억 원 | 3,400개 | 카페형, 스마트 무인, 심야전용 |
CU | 32.8% | 15,100개 | 5.6억 원 | 2,950개 | 프리미엄 도시락존, 키오스크 편의형 |
세븐일레븐 | 16.7% | 7,850개 | 5.3억 원 | 1,400개 | 무인형, 제휴매장(철도·병원) |
이마트24 | 9.4% | 4,450개 | 6.1억 원 | 1,200개 | 와인·PB중심, 24시 북카페형 |
미니스톱 | 2.3% | 1,050개 | 4.1억 원 | 320개 | 즉석조리형, 프랜차이즈 특화 |
기타 | 4.3% | 2,100개 | 3.8억 원 | 450개 | 지역형, 협동조합형 |
2. 지역별 편의점 분포 현황
서울·수도권
- 전체 편의점의 약 42% 집중
- 경쟁이 가장 치열하며 특화 매장 비율도 높음
- 24시 운영률 약 91%, 퇴근 시간대 도시락/밀키트 소비 높음
부산·경남
- CU, GS25 점유율이 압도적
- 해변, 터미널, 기차역 인접점 중심 관광형 특화매장 비중 증가
대전·세종·충청권
- 이마트24와 세븐일레븐 점유율 상승 중
- 신도시·혁신도시 배후 매장 다수
대구·경북
- 도심형 프랜차이즈 매장 + 대학가 중심 고정 수요
- 대구는 무인 스마트편의점 도입 선도지역 중 하나
광주·전라
- 편의점 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자영업자형 CU 집중
- 농어촌 지역 무인형 시범 운영 확대
강원·제주
- 관광·휴양지형 특화 점포 중심
- CU/GS25 공항 및 항구 매장, 이마트24의 와인매장 확산세 눈에 띔
http://gs25.gsretail.com/gscvs/en/franchise-info/guide/process
GS25
재미있는 Lifestyle Platform GS25
gs25.gsretail.com
3. 2025 상반기 주요 트렌드 요약
✔️ 트렌드 1: 무인형 & 심야형 편의점 확대
- 인건비 절감 + 24시간 소비 수요 대응
- AI POS, 셀프계산대, 얼굴인식 출입도입 가속화
✔️ 트렌드 2: 와인, 간편식, 카페 등 프리미엄 콘텐츠 중심
- MZ세대 소비 증가에 따른 매장 내 콘텐츠 차별화
- 이마트24는 와인 전용 냉장 보관시설 도입 → 매출 증가율 16% 기록
✔️ 트렌드 3: 지역형 협동조합 편의점 부상
- 농협, 지역조합 등과 연계된 마을형 편의점 증가
- 고령인구 지역 중심으로 배송 및 사회서비스 연계 모델 확산
4. 브랜드별 특징 정리
GS25 | 대형 매장형, 심야 조리식, 퀵배송 제휴 활발 |
CU | 프랜차이즈 안정성 기반, 도시락·디저트 강화 |
세븐일레븐 | 철도·병원·기숙사 등 특수 상권 제휴 확대 |
이마트24 | 이마트 PB 제품과 연계, 고급 상품·와인 판매 집중 |
미니스톱 | 즉석식, 치킨·튀김 등 자체 조리 메뉴 강세 |
기타 | 지역 공동체 운영, 로컬 푸드, 택배 연계 등 다양화 시도 |
5. 마무리 요약
항목 요약 | 내용 |
시장 점유율 1위 | GS25 (34.5%) |
총 편의점 수 | 약 46,300개 이상 |
평균 매장당 매출 | 4.9~6.1억 원 |
특화 매장 비율 | 전체의 약 20% |
주요 트렌드 | 무인화, 프리미엄화, 지역화 |
편의점은 단순 ‘소매점’을 넘어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 중입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국내 편의점 시장은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서
매장 경험, 콘텐츠, 특화 서비스를 중심으로 치열한 차별화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 GS25와 CU가 점포 수와 점유율에서 2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 이마트24는 매장당 매출과 와인 중심 콘텐츠로 확장세를 보여주고,
- 세븐일레븐과 미니스톱은 특수상권을 공략하며 틈새시장을 장악 중입니다.
또한, 무인화·심야형 매장, 지역 밀착형 편의점, PB상품 고급화 전략은
2025년 하반기 이후에도 계속해서 편의점 산업의 핵심 경쟁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