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복지시사사회

양육비 통계 알아보기 아이 한 명 키우는 데 드는 비용, 도대체 얼마일까?

by 기묘한 통계 2025. 7. 1.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양육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과연 그 돈이 얼마가 적합할까, 사람마다 생각이 다 다를텐데요.

 

 

양육수당 지원대상 바로보기

 

요약: 아이 1명당 평균 양육비 핵심 정리

평균 양육비 총합 (2025년 기준)

  • 👶 0~6세 (미취학): 약 9,200만 원
  • 📚 7~18세 (학령기): 약 1억 8,000만 원
  • 🎓 대학 4년 포함 시 총 양육비: 약 3억 3,000만 원
  • ⚠️ 사교육·양육 방식에 따라 4억~5억 이상 가능

 

1️⃣ 서론 – “애 하나 키우는데 3억?”은 과장일까, 현실일까?

많은 부모님들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아이 하나 키우는 데 3억은 든다”는 말.
실제로는 단순한 과장이 아니라 생활비, 교육비, 의료비, 문화비까지 포함한 종합 수치로 보면 충분히 현실적인 금액입니다.

 

2025년 현재 통계청, 보건사회연구원, 교육부 자료를 종합해
실제 가구들이 지출한 ‘아이 1인당 평균 양육비’를 구간별로 분석해봤습니다.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kicce.re.kr

 

2️⃣ 0~6세 (영·유아기) 양육비 – 가장 빠르게 돈이 들어가는 시기

 

항목 평균 지출 (연간) 설명
기저귀·분유 120만 원 월 평균 10만 원 수준
예방접종·건강검진 50만 원 무료 항목 제외 후 실비 부담
어린이집·유치원 360만 원 국공립 기준 연 30만 원×12개월
육아용품·가전 200만 원 유모차, 카시트, 식탁의자 등
문화·취미 100만 원 돌잔치, 돌사진, 장난감 등
 

👉 여기에 맞벌이 가구의 ‘가사서비스’, ‘조부모 육아 비용’ 등을 포함하면 최대 9,000만 원 이상까지 추정됩니다.

보건사회연구원 통합검색 : 자녀육아비용

 

보건사회연구원 통합검색 :

검색 연산자는 기본 연산자(Boolean Operation)와 고급 연산자(Advanced Operation)로 구분됩니다. * 기본 연산자는 효율적이고 정확한 검색을 위해 검색어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를 지정해주는 검색 연산자

www.kihasa.re.kr

 

 

3️⃣ 7~18세 (초·중·고) 학령기 양육비 – 사교육이 비용의 핵심

 

구분 초등 중등 고등
공교육비 연 100만 원 연 120만 원 연 140만 원
사교육비 연 300만 원 연 450만 원 연 600만 원
교통·식비 연 150만 원 연 180만 원 연 200만 원
체험학습·학원버스 연 100만 원 연 100만 원 연 120만 원
 

평균 총합: 학령기 12년 × 연간 약 1,500만 원 = 약 1억 8,000만 원

⚠️ 단, ‘과외, 유학, 특목고 준비’ 등 고강도 사교육이 포함되면 3억 원까지 증가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4️⃣ 대학 교육비 (4년 기준) – 공립/사립에 따라 천차만별

 

구분 국공립대 사립대
등록금 연 420만 원 연 720만 원
생활비 (기숙사, 식비 포함) 연 600만 원 연 700만 원
교재비 등 부대비용 연 100만 원 연 100만 원
 

▶ 총 4년 기준:

  • 국공립대: 약 4,500만 원
  • 사립대: 약 6,400만 원

💡 지방출신 학생의 경우 타지 거주 비용 포함 시, 총 7,000만 원 이상도 가능

 

 

 

5️⃣ 전체 양육비 총합 비교 – 정말 3억 넘게 드는 걸까?

 

0~6세 약 9,200만 원
7~18세 약 1억 8,000만 원
대학 4년 약 5,000만~6,500만 원
 

총합: 약 3억 3,000만 원~4억 원 수준

⚠️ 수도권 거주 + 사교육 강도 높음 + 사립대 진학 시 → 5억 원 이상도 가능

 

 

정부의 양육비 완화 정책 (2025년 기준)

아동수당 0~8세 매월 10만 원
영아수당 24개월 미만 최대 30만 원
첫만남이용권 출생아 200만 원 지급
다자녀 가구 학비 감면 셋째 이상 대학 등록금 지원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보육비 절감 효과
 

 하지만 “사교육비 통제는 민간 중심이라 여전히 부담 크다”는 지적도 있음

 

 

👉 2024년 작년 한 해 신생아 출생 수가 궁금하다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