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세계에서 비만율이 높은 국가 TOP10

by 기묘한 통계 2025. 7. 5.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건강 관리 잘하고 계신가요?^^

비만은 단순히 식습관만의 문제가 아니라 운동, 수면 등과도 연관이 있는데요.

전 세계 비만 인구가 10억명이 돌파했다는 기사도 있네요.

세계 비만 인구 10억명 돌파…한국, ‘저체중+비만’ 비율 낮은 편

 

세계 비만 인구 10억명 돌파…한국, ‘저체중+비만’ 비율 낮은 편

전 세계 비만 인구가 10억명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전 세계 80억 인구에서 8명 중 한 명은 비만인이라는 얘기다. 비만 인구는 저소득 국가에서 많이 늘고 있으며 특히 성인보다 어린이와 청

www.hani.co.kr

 

오늘은 어떤 나라들이 전 세계에서 비만율이 가장 높은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전 세계에서 ‘비만’은 더 이상 개인 건강 문제만이 아닙니다.
국가 경제, 의료비, 노동생산성, 사회 불평등과 깊은 연관이 있는 복합적 이슈입니다.

 

1. 세계 비만율 순위 TOP 10 (2024 WHO 기준)

순위 국가 비만율 (%) 주요 원인 최근 정책 동향
1 나우루 (Nauru) 61.0% 수입 가공식품 의존, 신체활동 부족 당분세 도입, 식품 수입 규제
2 쿡 제도 55.9% 고열량식품 중심 식단 청소년 영양교육 확대
3 팔라우 55.3% 전통 식문화 붕괴 건강식 농산물 보조금 지원
4 마셜제도 52.9% 고도 도시화 + 외식 위주 비만 예방 헬스 캠페인
5 투발루 51.6% 가공식품 의존, 낮은 신체활동 전통음식 회복 캠페인
6 니우에 50.0% 고당분 음료 섭취율 높음 탄산음료 세금 인상
7 통가 48.2% 고탄수 중심 식사 청소년 운동 장려 프로그램
8 사모아 47.3% 소득 불균형에 따른 식습관 무료 건강검진 확대
9 키리바시 46.0% 식재료 다양성 부족 공공 식단 기준 제정
10 미국 42.9% 초가공식품 소비, 좌식 생활 칼로리 라벨링 의무화

 

 

2. 국가별 분석

 

① 나우루 (Nauru) – 비만율 61%

  • 전 세계 1위 비만 국가.
  • 극도로 작은 경제 기반에서 식료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
  • 수입 가공식품 중 소금, 당분, 트랜스지방 비중이 높음.
  • 주민 10명 중 6명이 BMI 30 이상.
  • 정책 시도: 당분세 / WHO 협력 식단 가이드 제공

나우루 공화국은?

 

② 쿡 제도 – 비만율 55.9%

  • 남태평양 섬나라로, 패스트푸드 도입 이후 급격한 체중 증가.
  • 전통 식문화 약화, 수입 햄/버터/마요네즈 소비율 급증.
  • 학교 급식 개혁영양 성분 표시 의무화 진행 중.

쿡 제도는?

 

③ 팔라우 – 비만율 55.3%

  • 청년층에서 가당 음료 섭취율 세계 최고 수준.
  • 해외 관광 중심 산업이지만, 국민 건강지표는 후퇴 중.
  • 야외활동 장려, 스포츠페스티벌 재도입 중.

④ 마셜제도 – 비만율 52.9%

  • 미국의 영향으로 패스트푸드 체인점 증가.
  • 당뇨 및 심혈관 질환 급증.
  • 공공병원에서 비만병 진단자 무료 약제 지원 시작.

⑤ 투발루 – 비만율 51.6%

  • 기후변화로 자급 식량 생산 감소 → 외부 식품 수입 증가.
  • NGO와 함께 건강 식자재 보급 운동 추진.
  • 어린이 비만 비율 30% 이상으로 심각.

⑥ 니우에 – 비만율 50.0%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국 중 하나.
  • 전통 농업 거의 소멸, 1인당 탄산음료 소비량 1위.
  • 정부는 음료세 인상과 보건소 내 식습관 코칭제 도입 중.

⑦ 통가 – 비만율 48.2%

  • 남태평양 국가 중 가장 빠른 경제 성장을 보였지만, 고탄수 기반 식단이 문제.
  • 국민 50% 이상이 좌식직업 종사자.
  • WHO와 함께 건강 도시 조성 프로젝트 진행.

⑧ 사모아 – 비만율 47.3%

  • 문화적 비만 수용도 높음 (풍만함 = 건강함 인식)
  • 청소년층에서 디지털중독 + 비활동성 문제 심각.
  • 학교 기반 운동 프로그램 확대

⑨ 키리바시 – 비만율 46.0%

  • 섬 간 이동 어려움 → 신선 식품 확보에 한계.
  • 비만 + 영양실조 동시 발생 → 이중부담 국가 사례

⑩ 미국 – 비만율 42.9%

  • 전통 강대국 중 유일하게 비만율 40% 초과.
  • 초가공식품 시장 세계 최대, 저소득층일수록 비만률 높음.
  • 식품 칼로리 표시 의무화, 가공식품 광고 제한 시도 중.

 

 

3. 전체적으로 보는 요약

 

포인트 설명
남태평양 중심의 군소 국가 상위 9개국 중 8개국이 남태평양 섬나라
수입 식품 의존 자국 농업 기반 부족 + 수입 초가공식품 증가
가공식품·음료 소비 증가 고지방·고당분 중심 식단
청소년 비만 가속화 활동량 감소, 교육 부족
의료재정 부담 급증 당뇨·고혈압·심장병 관련 비용 증가

 

 

4. 2024년 기준 대한민국 비만율 (WHO & OECD 통계 기준)

구분 수치 설명
성인 비만율(BMI ≥ 30) 약 6.3% OECD 평균은 약 19.5%
남성 비만율 약 7.6% 증가세, 복부비만 증가 경향
여성 비만율 약 5.1% 여전히 낮지만 증가 추세
아동·청소년 비만율 (5~19세) 약 11.8% 10년 전보다 약 2배 증가

 

 

5. 대한민국은 몇 위?

순위 국가 성인 비만율 (%)
1 나우루 61.0%
10 미국 42.9%
25 사우디아라비아 33.5%
40 중국 8.2%
65 대한민국 6.3%
80 베트남 2.1%

 

 

 

보시는 것처럼

 

대한민국은 전 세계적으로는 낮은 편, OECD 기준 최저 수준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최근 10년간 소폭 상승세, 특히 남성 비만과 청소년 비만이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성 과식 등이 원인입니다.

 

저부터도 얼른 습관을..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네요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