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안녕하세요! 저도 자취 생활을 오래하다보니 1인 가구의 수나 환경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데요 ㅎㅎ
지금은 결혼을 했다보니 요즘은 신혼부부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ㅎㅎ
전국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어디일까요?
실제로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은 ‘1인 가구 공화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1인 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의 35%를 넘어섰습니다.
이전에는 주로 청년층 중심으로 나타났던 1인 가구 현상이
이제는 노년층, 중년 이혼자, 직장인, 자발적 1인 거주자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2025년 기준 전국 시·구 단위의 1인 가구 비율 TOP10 지역을 소개하고,
왜 그 지역에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은지, 지역 특성과 함께 라이프스타일, 정책 인사이트, 주거환경까지 분석합니다.
1. 전국 1인 가구 비율 TOP10 (도시-구 기준)
순위 | 지역 (도시-구) | 1인 가구 비율 (%) | 총 가구 수 | 1인 가구 수 | 특징 |
---|---|---|---|---|---|
1 | 서울특별시 중구 | 60.2% | 106,142 | 63,900 | 도심 오피스텔 밀집, 청년·직장인 중심 |
2 | 서울특별시 종로구 | 58.7% | 91,003 | 53,430 | 1인 고령자 비율 ↑, 원룸 밀집 |
3 | 광주광역시 동구 | 56.1% | 79,283 | 44,479 | 청년 예술가·창작촌 거주, 고령층도 많음 |
4 | 대구광역시 중구 | 55.9% | 84,772 | 47,376 | 도심 재생지구, 오피스텔 중심 |
5 | 부산광역시 동구 | 54.3% | 93,110 | 50,571 | 항만 배후지역, 고령층 밀집 |
6 | 서울특별시 은평구 | 51.5% | 183,820 | 94,742 | 1인가구 맞춤형 임대주택 ↑ |
7 | 인천광역시 동구 | 51.0% | 68,224 | 34,794 | 산업단지 종사자 중심 |
8 | 서울특별시 성북구 | 50.7% | 198,104 | 100,443 | 대학생, 고시생 밀집 |
9 | 부산광역시 서구 | 50.1% | 97,430 | 48,828 | 고령화 심화 지역 |
10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49.8% | 209,350 | 104,234 | 중소형 주택, 청년·신혼거주 비율 ↑ |
2. 도시별 1인 가구 특징 분석
서울 중구 & 종로구
- 기업 사무실 밀집 + 오피스텔·원룸 집중 지역
- 노인 1인 가구도 많음
- 역세권 인프라 풍부하지만 주거비 부담 큼
광주 동구 & 대구 중구
- 구도심 재생 프로젝트 + 저렴한 주거비
- 젊은 예술인, 독립노동자 유입 활발
부산 동구·서구
- 고령층 비중 매우 높은 지역
- 가족 해체 이후 혼자 사는 70세 이상 인구↑
3. 왜 1인 가구가 늘고 있을까?
주요 요인 | 설명 |
비혼·만혼 트렌드 | 결혼 자체를 선택하지 않는 20~30대 증가 |
직업 유동성 | 수도권·도심 근무자 독립 거주 선호 |
주거 독립의 사회문화적 수용 | 혼자 사는 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
고령화 + 가족 해체 | 노년층의 자녀 분가 후 단독 거주 증가 |
서울시 1인가구(연령별) 통계> 데이터셋> 공공데이터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열린데이터광장 메인
데이터분류,데이터검색,데이터활용
data.seoul.go.kr
4. 1인 가구를 위한 도시별 정책
서울 성북구 | 고시원 리모델링 → 청년주택 전환 |
광주 동구 | 1인 가구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
대전 유성구 | AI 기반 안전 돌봄 시스템 구축 (고령 1인가구 대상) |
부산 남구 | 반려동물 동반 임대주택 시범사업 |
5. 전국 평균 1인 가구 비율 추이
연도 | 전체 가구 수 | 1인 가구 | 비율 |
2000 | 약 1,400만 | 약 220만 | 15.5% |
2010 | 약 1,700만 | 약 420만 | 24.7% |
2020 | 약 2,000만 | 약 600만 | 30.2% |
2025 | 약 2,100만 | 약 745만 | 35.4% (추정치) |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3가구 중 1가구는 혼자 산다는 통계는
더 이상 낯설지도, 특별하지도 않습니다.
1인 가구는 이제 ‘예외’가 아닌 사회구조의 중심 축입니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도시계획, 주거 정책, 복지 시스템 모두 이제 ‘가구 단위’가 아니라
‘개인 단위’로 전환되어야 할 시점입니다.
앞으로의 도시와 정책은
- 소형주택 공급 확대
- 1인 고령자 돌봄
- 1인가구 범죄 예방
- 자산 형성 지원
등을 중심으로 1인 가구 친화적 환경을 구축하면 조금 더 혼자 사는 사람들에 대한 환경이 개선되지 않을까 싶네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기고, 문화칼럼,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핑자
www.korea.kr
'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육아휴직 사용률 20년 추이 분석. 2000년대부터 2025년까지, 대한민국 부모들의 ‘일과 양육’ (1) | 2025.07.05 |
---|---|
세계에서 비만율이 높은 국가 TOP10 (1) | 2025.07.05 |
2025년 4월 수입차 신차 등록 순위 분석 BMW의 귀환과 비야디의 돌풍 (1) | 2025.07.04 |
2025년 1분기 신발 브랜드 순위 완전 정리 판매량, 매출, 인기 신제품까지 (0) | 2025.07.03 |
2025년 1분기 국내 자동차 판매량 순위 총정리 (4)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