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반응형
1. 지역화폐, 여전히 쓰이고 있나요?
지역화폐는 한때 전국 지자체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의 구원투수처럼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 방향 전환과 일부 예산 축소로 인해 ‘정책 폐지설’까지 떠돌았던 시기도 있었죠.
그럼에도 2025년 현재, 많은 지방정부는 여전히 지역화폐를 적극 운용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이를 발급·운영하는 지역화폐 기업들도 다수 존재하고 있습니다.
2. 지역화폐란? (정의 및 개념 정리)
공식 명칭 | 지역사랑상품권 (법적 명칭) |
도입 목적 | 지역 내 소비 촉진, 소상공인 보호, 지역경제 순환 |
사용 방식 | 모바일 앱, 카드, 종이형 상품권 등 |
참여 주체 | 지자체 + 운영사(민간 위탁) + 사용자 + 가맹점 |
지원 근거 |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2020 시행) |
3. 국내 지역화폐 운영 방식 분류
지자체 직영 | 자체 플랫폼 구축 및 직접 운영 (예: 성남시 ‘모바일 성남사랑상품권’) |
플랫폼 위탁 | 민간 업체에 발급·운영 위탁 (예: 코나아이, 한국조폐공사 등) |
통합운영 방식 | 여신사(BC카드, 신한카드) 연동 또는 중앙 통합 시스템 도입 (예: 제로페이 연계) |
4. 주요 지역화폐 운영 기업 현황 (2025년 기준)
순위 | 기업명 | 설립 연도 |
운영 지자체 수 (2025) | 점유율 (발행액 기준) |
비고 |
---|---|---|---|---|---|
1 | 코나아이㈜ | 1998 | 142개 | 약 44.7% | 가장 많은 지자체와 계약 체결 |
2 | 한국조폐공사 (KOMSCO) | 1951 | 79개 | 약 27.3% | 공공기관 신뢰도 및 지류형 발급 특화 |
3 | BC카드 | 1982 | 41개 | 약 13.1% | 신용카드 기반 시스템, 은행 연동 강점 |
4 | 신한카드 | 1990 | 19개 | 약 6.4% | 신한 플랫폼 연계, 충전형 카드 중심 |
5 | 기타 (지자체 자체 또는 중소 사업자) | - | 10개 이하 | 약 8.5% | 성남시, 시흥시 등 독자 플랫폼 운영 |
한국조폐공사
가짜 없는 세상을 만든다. 조폐가 산업이 되는 KOMSCO 2.0
www.komsco.com
5. 시장 점유율 추이 (2020~2025)
지역화폐 발행액은 2020년 약 9.5조 원 → 2022년 23조 원으로 급증,
이후 정부의 예산 조정으로 2023년부터는 15조 원 내외로 조정되었습니다.
연도 | 전체 발행액 | 코나아이 | 조폐공사 | BC카드 | 신한카드 | 기타 |
2020 | 9.5조 원 | 38% | 31% | 16% | 7% | 8% |
2021 | 19.7조 원 | 42% | 28% | 15% | 8% | 7% |
2022 | 23.0조 원 | 44% | 27% | 14% | 7% | 8% |
2023 | 15.2조 원 | 43% | 28% | 13% | 6% | 10% |
2024 | 15.5조 원 | 44.2% | 27.1% | 13.3% | 6.9% | 8.5% |
2025 (예상) | 15.8조 원 | 44.7% | 27.3% | 13.1% | 6.4% | 8.5% |
경기 연매출 30억원 매장도 지역화폐로 소비쿠폰 사용 가능 | 연합뉴스
경기 연매출 30억원 매장도 지역화폐로 소비쿠폰 사용 가능 | 연합뉴스
(수원=연합뉴스) 김도윤 최해민 기자 = 경기도가 지역화폐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하는 도민이 불편을 겪지 않게 사용처를 연매출 12억원 이하...
www.yna.co.kr
6. 각 운영사의 특징 요약
코나아이 | 모바일 기반 플랫폼 ‘chak’, 지자체 맞춤 커스터마이징 강점 |
한국조폐공사 | 지류 상품권 발급 기술, 공공 신뢰도 높음 |
BC카드 | 카드 기반 인프라 활용, 전국 은행 연계 |
신한카드 | 금융사 연동 서비스 강점, 민관 프로젝트 다수 |
성남시 등 | 자체 플랫폼 구축, 지역 개발업체 활용 |
7. 지역화폐 사업의 사회·경제적 의의
- ✅ 소상공인 매출 증대 효과
- ✅ 지역 내 소비 순환으로 상권 활성화
- ✅ 청년·노인 대상 복지성 인센티브 지급 가능
- ✅ 모바일화폐를 통한 디지털 금융 포용
8. 운영상의 과제 및 비판점
정부 보조금 의존 | 발행액의 최대 10%를 인센티브로 지급 → 예산 절감 시 발행 축소 |
지역 간 편차 | 대도시와 농어촌 간 인프라 격차, 가맹점 수 차이 |
부정 사용 | 일부 지역에서 상품권 깡(현금화) 사례 발생 |
운영 수수료 문제 | 위탁사에 지불하는 수수료율이 비효율 논란 대상 |
9. 2025년 이후 지역화폐 방향
- 국가 통합 플랫폼 구축 논의: 데이터 연계 및 중복 방지 목적
- 제로페이와의 통합 가능성 검토
- 사회복지와 연계한 디지털 바우처 모델 확대 중
- 지역 브랜드와의 결합형 상품권 (관광형 지역화폐) 도입 확산
10. 결론
2025년 기준으로 지역화폐는 전국적으로 여전히 200개 이상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민간 운영사 중심의 위탁 체제가 안정적으로 정착한 상태입니다.
비록 정부의 예산 지원은 줄어들었지만,
지역화폐는 단순한 경제수단을 넘어 ‘지역 순환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여전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응형
'각종순위지표점유율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현재까지 운영 중인 국내 시장 수는 몇 곳? (3) | 2025.07.16 |
---|---|
2025년 상반기 온라인 베스트셀러 노트북 TOP10 + 노트북 저렴하게 구매하는 꿀팁까지 (4) | 2025.07.15 |
국내 저가항공사(LCC) 종류와 이용자 수 기준 시장 점유율 분석 (3) | 2025.07.15 |
2024년 국내 치과 매출 상위 TOP30 분석 (4) | 2025.07.14 |
세계 최저임금 높은 순위 TOP20 (2025년 상반기 기준) (2) | 2025.07.14 |